웨이트를 병행하는 다이어터들의 운동지표. 인바디!
인바디는 헬스장/보건소/병원 등에서 측정이 가능하다
손잡이 달린 고작 이 작은 기계가 어떻게 내 몸의 근육과 지방을 측정해낸다는 것인가?
인바디의 원리
: 인체에 전류를 흘려 근육(전류가 잘 통함) 과 지방(전류가 잘 안 통함)의 양을 측정
수분이 많은 근육은 전류가 잘 통하고, 반면 지방은 전류가 잘 통하지 않는 원리를 활용한 것.
한편, 인바디를 불신하는 사람들의 근거도 여기서 나온다.
인바디는 못믿겠다? 잴 때 마다 다르다. 인바디보다 눈바디!?
인바디가 "수분을=근육"으로 인식한다면,
우리 몸이 수분이 많은 상태(짠 음식을 많이 먹었거나, 생리 중이거나) 라면 실제와 달리 근육이 늘었다고 나올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 인바디 불신자들은 “인바디 믿을 것 하나 없다! 눈바디가 중요해!”라고 이야기는 한다. 그래, 일단 나도 눈바디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완전 동의한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인바디의 기술적 한계일 뿐,
단순 체중계에 비해서는 인바디가 상세한 체성분 상황을 제공해주는 도구라는 점에서 운동 시 참고 자료로는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일단 인바디를 잴 때는!!
기계에 나이/키를 입력하고 양쪽 손잡이를 잡고 올라가면 된다.(몸에 전류를 흘리는 것이다)
난 한국나이로 서른인데 트레이너가 28살이라고 만 나이로 해줬다. 고마워요...
꺄하하하하하
이렇게 인바디 맨 윗부분에 나이/신장/성별/검사일시 가 나온다.
인바디를 보면 엄청나게 많은 용어들이 나와서 몸무게 정도만 보는 분들도 있더라.
인바디 분석에 앞서, 중요한 포인트!
정확한 분석을 위해 인바디 재기 전 유의사항을 보자
인바디 잴 때 주의점
- 가급적 공복 몸무게를 재자 (수분의 영향이 크다)
- 금속 악세서리는 제거하자 (전기가 통한다 =근육으로 인식)
- 가급적 가볍게/ 같은 옷을 입자
( 옷=전류가 안 흐름=지방으로 인식, 같은 컨디션에서의 인바디 비교 위함)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알아보자
인바디 어떻게/무엇을 보는 걸까?
인바디에서 볼 5가지 포인트
1) Weight : 몸무게 (kg)
2) SMM (Skeletal Muscle Mass) : 근육량 (kg)
3) Body Fat Mass : 체지방량 (kg)
4) BMI (Body Mass Index) : 비만도
5) PBF (Percent Body Fat) : 체지방률
1) Weight = 몸무게 (kg)
정확한 측정을 위해 (가능한) 공복 몸무게를 재자.
인바디를 꾸준히 재고 있다면 가급적 같은 복장/ 같은 시간대 / 같은 조건에서 재도록 하자.
2) SMM(Skeletal Muscle Mass): 골격근량 (kg) = 근육량
골격근이라 함은 뼈나 힘줄에 붙어서 운동을 관장하는 근육이다. 우리가 움직임을 위해 사용 하는 근육이며, 즉 운동으로 늘릴 수 있는 근육을 의미한다. 따라서 근력운동을 병행하면서 인바디를 꾸준히 잰다면, 변화하는 근육량을 확인할 수 있다.
3) BFM( Body Fat Mass) : 체지방량 (kg)
우리 몸 속 지방의 무게
위 세 가지 (몸무게/골격근량/체지방량)의 “바(bar)”길이를 연결하면 알파벳 모양들이 나온다. (C,I,D)
내 인바디에서는 아래와 같이 찌그러진 I가 나온다 ㅋㅋ
C형에서 I형을 거쳐 D형으로 가는 중..
D쉐잎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자세하게 C/I/D타입을 알아보자.
- C 타입 : 지방이 많은 몸
근육량에 비해 몸무게+체지방이 많은 형태이다. 체지방은 줄이고, 근육은 늘려 C -> I형 -> D형을 목표로 하자
-I 타입 : 균형 잡힌 몸
몸무게 / 근육 / 지방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형태다. 유지 or 근육량을 늘려 I형->D형을 목표로 하자.
- D 타입 : 이상적인 몸
근육량이 많고 지방이 적은 이상적인 바디. 그만큼 달성하기 어려운 것 같다.
4) BMI (Body Mass Index) : 신체질량 지수. 흔히 말하는 “비만도”.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즉, 키에 비해 몸 무게가 얼마나 나가느냐.
수치상 18.5~25%가 적정하고, 25% 이상이면 비만이다.
5) PBF (Percent Body Fat): 체지방률
여자는 남자보다 신체 구조상 지방이 많다. (가슴, 허리, 팔, 엉덩이, 허벅지 등)
남자는 10-20%, 여자는 18-28%의 체지방률이 적정하다.
인터넷에서 남자/여자 체지방률별 몸매를 퍼왔다. BMI(비만도)보다 체지방률을 더 살펴보는 나로서는 이 자료가 꽤 도움이 되는 것 같다.
남자/여자 체지방률별 체형 참고
인바디를 꾸준히 체크하고 있다면, 인바디 + 눈바디의 지표로 참고하면 딱 좋을 듯 하다.
<나의 눈바디 기록>
공복에 몸무게를 재야하는 이유는, 아래 포스팅 참고 )
물 무게|물 500ml 1L 무게는? - 아침 공복 몸무게를 재야 하는 이유
다이어트 효과를 가장 쉽게 확인 가능한 방법이 바로 몸.무.게! 체중계를 구매한 이후, 나도 수시로 저울에 올라가보며 몸무게 변화를 기록하고 있다. 다만 너무 자주 올라가서 불필요한 희노애락을 자주 경..
yesyesyol.tistory.com
'Diet · Workout 운동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자 복근 만들기 I 운동을 해도 복근이 보이지 않는 이유 2가지 (1) | 2019.09.26 |
---|---|
다이어트 자극사진 I 힙/엉덩이 애플힙 자극사진 (0) | 2019.09.26 |
단백질 보충제 리뷰 I Ultimate Nutrition 얼티메이트 뉴트리션 웨이프로틴 WPI 초코퍼지맛 - 추천 ! (0) | 2019.09.23 |
단백질 보충제 리뷰 I 옵티멈 뉴트리션 골드스탠다드 웨이프로틴 아이솔레이트(Optimum Nutrition WHEY Protein Isolate) - 추천! (0) | 2019.09.23 |
단백질보충제 리뷰 I 요즘 먹는 GNC 웨이프로틴 GOLD SERIES COMPLETE WHEY PROTEIN (0) | 2019.09.23 |
댓글